한국 사람들은 먹다 남은 각종 약들을 어디에 버릴까?
설문조사 결과 쓰레기통이나 하수구를 통해 버린다고 응답했다.
그래서 한강을 비롯한 전국 4대강의 수질을 검사했더니 의약물질 15종이 검출되었다고 하는데,
그럼 유통기한 지났거나 방치되어 있는, 먹다 남은 약들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
언제 처방받았는지, 어떤 증상에 먹는 건지 기억도 안나는 이런 약을 "폐의약품"이라고 합니다.
폐의약품은 유해폐기물로, 아무 데나 버리면 안 됩니다.
일반쓰레기나 화장실 변기, 싱크대 등 하수구로 흘러 보낼 경우 다시 우리 몸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물이나 땅에 스며들며 환경을 오염시키고 생태계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 때문인데요,

조금 번거롭더라도 폐의약품 올바르게 버리는 방법!
종류 | 방법 |
가루약 | 포장지 뜯지 않고 그대로 배출 |
캡슐약 | 캡슐은 버리고 안에 든 약만 한곳에 모아 배출 |
알약 | 포장재 제거 후 내용물만 한곳에 모아 밀봉하여 배출 |
물약 또는 시럽 | 액체를 한곳에 모아 밀봉하여 배출 |
기타 의약품 | 연고, 천식 흡입제 등 특수 용기는 종이 박스만 제거하고 배출 |
⚠️홍삼, 자양강장제 등 건강보조 식품은 버릴 수 없습니다! 일반쓰레기에..
⠂⠄⠄⠂⠁⠁⠂⠄⠄ 버릴 수 있는 곳 ⠂⠁⠁⠂⠄⠄⠂ ⠂⠄⠄⠂☆
✔️보건소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복지관, 체육센터, 자치회관 등
✔️약국
단, 모든 약국에서 참여하지 않으니 가기 전에 꼭 전화로 먼저 확인해 보세요.
✔️지하철역
대구교통공사가 22년도 최초로 역사에 수거함을 비치했다고 합니다.
진천역, 송현역, 중앙로역, 동대구역, 반고개역, 대구은행역, 매천시장역, 수성못역 등
인천교통공사도 24년부터 '시니어 폐의약품 수거활성화사업'을 시범운행 중이라고.
간석오거리역, 인천시청역, 석천사거리역, 남동구청역, 인천대공원 등
✔️우체통
주민센터나 보건소에서 폐의약품 회수 봉투를 받거나 없는 경우 일반 봉투 겉면에 폐의약품이라고 표시하면 됩니다. 다만 물약, 안약, 연고의 경우 다른 우편물이 손상될 수 있으니 배출 불가
서울에는 이렇게 폐의약품 수거함이 있다고 하네.
이래서 서울 살아야 되나 싶고.. ㅋㅋ 진짜 이런 거 너무 잘되어있어서 부럽다..
🔽 이렇게 스마트 서울맵으로 폐의약품 전용수거함 위치도 볼 수 있음.
🔽 물론 서울에만 있는 건 아님. 근데 경기도는 없는 거 실화냐.. ㅋㅋㅋ

자! 이제 폐의약품을 어떻게 버리는지 알았으니, 앞으로 일반쓰레기나 하수구에 흘려보내는 일은 없어야겠죠?
환경을 지키는 것은 곧 나를 지키는 거니까요, 귀찮더라도 가까운 보건소나 행정복지센터에 가서 버리기로 해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트리 같은 [프로필 링크] 깔끔하게 3개만 추천 (0) | 2025.02.20 |
---|---|
유통기한 지난 영양제 버려야 할까? 먹어도 되나? (1) | 2025.02.19 |
유효기간 지난 문화상품권 3만 원 날라간 후기(25년 2월) (0) | 2025.02.14 |
분명 무제한 통화인데.. 요금제 폭탄 맞은 후기(부가통화란?) (0) | 2025.01.12 |
텔레그램 pc버전 설치 및 연결까지 쉽게 설명 (0) | 2024.12.28 |